알고 살아가자 719

인공 염료, 대단한 10대~ 퍼킨

수학 이외의 분야에서도 10대 시절에 중요한 발견을 한 이들이 있는데, 대표적인 경우로서 인공 염료를 처음 발견한 화학자 퍼킨(William H. Perkin, 1838-1907)이 있다. 그는 천재적이라는 평가를 받지는 않았으나, 어릴 적부터 화학에 심취하여 열심히 매진한 끝에 일찌감치 큰 업적을 남겼다. 퍼킨은 영국 런던에서 부유한 토목 업자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퍼킨의 부모는 그가 화학을 공부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나 굳은 의지를 지니고 있었던 그는 15세의 나이에 왕립화학학교에 입학하였고, 바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는데 행운도 그의 편이었다. 즉 그는 학교에 입학한 지 2년 후에 독일 출신인 호프만(August W. Hofmann, 1818-1892) 교수의 조수로 일하..

와이파이, 2.4GHz, 5GHz

2.4GHz? 5GHz? 어떤 와이파이 신호가 더 좋은가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에서 와이파이 접속을 할 때, SSID(와이파이 네트워크 목록) 이름은 비슷한데 뒤쪽에 '2.4GHz'나 '5GHz', 혹은 '2G'나 '5G' 등의 문구가 붙는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ITDONGA_2.4GHz', 'ITDONGA_5G' 등이다(SSID 이름은 공유기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어느 SSID를 선택해도 인터넷 접속은 되는 것 같은데 무슨 차이가 있을까? 이는 최근 출시되는 유무선공유기의 '듀얼밴드' 기능 때문이다. 이는 한 대의 공유기에서 2.4GHz 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의 와이파이 신호를 동시에 발산하는 것인데, 이 때문에 공유기는 한 대라도 2개의 SSID가 잡히는 것이다..

허블 망원경, 서른살...

가장 영향력 있는 망원경으로 꼽히는 허블 우주망원경이 지난 24일로 발사 30주년을 맞이했다. 주거울 지름 2.5m, 총 길이 13m, 무게 12.2t의 허블 망원경은 지상 약 600㎞ 궤도에 위치해 지상 관측소에서 결코 볼 수 없는 우주 현상을 연구할 수 있다. 우주방사선에 시달릴 수밖에 없는 허블 망원경이 30년간이나 버틸 수 있었던 까닭은 우주비행사의 주기적인 방문 및 수리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혁신적인 디자인 덕분이다. 허블 망원경의 결함이 처음으로 발견된 건 발사된 바로 그해 5월 20일 첫 사진을 보내왔을 때다. 이미지가 일그러져 주거울에 결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 미 항공우주국(NASA)은 3년 후인 1993년에야 우주비행사를 보내 허블 망원경을 수리했다. 이를 포함해 허블 망원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