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살아가자 718

TV, 챔피언의 한국

글로벌 TV 시장에서 국내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사상 첫 50%를 돌파했다. 19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1∼3월) 전 세계 TV 시장에서 금액 기준 전년 동기(29.4%) 대비 3.0%포인트 오른 32.4%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32.3%) 점유율도 경신하며 분기 금액 기준으로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북미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의 점유율 40% 돌파가 삼성전자의 판매 실적을 견인했다. 북미 시장에서는 42.6%, 유럽 시장에서는 41.1%의 점유율을 각각 올렸다. 북미 시장의 경우 지난해 1분기 점유율(36.8%)보다 5.8%포인트나 성장했다. 업계에서는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 TV를 중심으로 한 삼성전자의 2500달러(약 307..

LCD의 마지막 불꽃

삼성 ⋅LG TV용 LCD패널 정리 수순… 코로나 수혜 모니터용은 생산 확대 전망 대형 LCD(액정표시장치) 산업 정리 수순을 밟고 있는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모니터용 LCD에선 점유율을 늘리고 있다. 중국의 저가공세로 TV용 LCD에선 철수하지만, 기술력이 필요한 고부가 제품군에선 여전히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비대면 경제가 확산되며 IT 기기 수요가 늘어난 점 또한 모니터용 LCD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다. 20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모니터용 LCD 패널을 각각 3134만대와 2296만대 출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LG디스플레이는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2.3% 소폭 줄어들지만, 삼성디스플레이는 40.1% 늘어..

삼성, QD 디스플레이(QD-OLED) 진입 눈앞에~

LCD TV 시장에서 철수하는 삼성이 이르면 내년초 ‘꿈의 TV’로 불리는 퀀텀닷(QD)디스플레이TV를 세계 최초로 시험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중국산 공세로 성장동력을 잃은 LCD사업을 접고 2025년까지 약 13조 원을 투자하는 차세대 패널 QD디스플레이로 사업을 전환 중이다. 기술 장벽이 높은 QD디스플레이 양산 준비가 속속 마무리되는 가운데 삼성전자도 내년부터 QD디스플레이 TV를 앞세워 새로운 경쟁 판도를 짜면서 프리미엄 TV 시장 주도권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다음달 말까지 충남 아산 1캠퍼스 ‘Q1 라인’에 8.5세대 크기 원장(TV 패널로 가공하기 전 큰 판) 기준으로 월 3만장 규모의 설비를 입고한다. 이 설비는 오는 3분기 중 설치된다. 이어..

볼리스 심슨~ 윌리긱 아트

이탈리아 브레시아(Brescia)의 산타 줄리아 박물관(Museo di Santa Giulia)에는 약 1200년 전에 제작된 독특한 모양의 풍향계 ‘람베르토의 수탉(Gallo di Ramperto)’이 실물로 전시되어 있다. 820년 무렵 제작 당시 성도 파우스티노와 지오비타 교회(Chiesa dei Santi Faustino e Giovita)의 종탑 꼭대기에 설치되었던 이 풍향계는 가톨릭 주교 람베르토(Ramperto, 815~844)가 총괄하여 제작되었다. 풍향계의 원리를 사용한 바람개비 오토마타, 윌리긱(Whirligig)은 아주 오래전부터 만들어져온 민속예술이다. 바람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의 운동력으로 인형이나 조형물을 움직이게 하는 윌리긱은 수메르(Sumer) 고대 문명 시기인 기원..

생활 속 거리두기, 질문과 답변

Q1. 생활 속 거리 두기와 생활방역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일상에서의 활동과 코로나19 감염예방을 병행하는 새로운 일상의 방역체계로서 생활방역이 논의된 바 있습니다. 의견수렴 과정에서 생활방역체계는 개인과 집단의 위생관리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거리 두기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생활방역이란 명칭이 사회적 거리 두기의 종료로 오인될 우려가 있다는 의견이 있었고, 이에 따라 ‘일상에서 계속되는 거리 두기’를 강조하는 ‘생활 속 거리 두기’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Q2. 현실적으로 지침을 준수하기 어려운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생활 속 거리 두기 지침은 우리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코로나 19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지켜야 할 사항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점..

뜨거운 물이 빨리 언다... 음펨바 효과

10대 소년 시절에 중요한 발견을 한 이들은 대부분 훗날 뛰어난 수학자나 과학자가 되었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니다. 과학자가 아닌 평범한 학생도 놀라운 발견을 한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음펨바 효과(Mpemba Effect)’이다. 음펨바 효과란 같은 냉각 조건에서 높은 온도의 물이 낮은 온도의 물보다 빨리 어는 현상을 지칭한다. 일반 사람들의 상식과는 다른 과학적 사실이라 예전에는 다소 생소하게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대중매체 등에서 자주 등장하면서 대중들에게도 비교적 알려지게 되었다. 즉 텔레비전의 과학 관련 프로그램뿐 아니라,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도 매우 추운 극지방 등에서 뜨거운 물을 공중에 흩뿌려서 곧바로 얼음으로 변하게 만드는 음펨바 효과 실험 장면이 등장하곤 한다. 음펨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