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살아가자 718

OLED TV 점유율, 두자리 숫자 진입

LG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가 올해 처음으로 글로벌 TV 시장에서 점유율 10%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가 2013년 OLED TV를 처음 선보인지 8년 만의 결실이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글로벌 TV 시장에서 OLED TV 점유율이 지난해 7.4%에서 올해 10%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옴디아는 지난해 말 OLED 비중을 8.5%로 내다봤으나, 최근 10%로 상향 조정했다. 글로벌 TV 시장 규모(약 123조원)를 고려하면 OLED TV 규모는 약 12조원을 넘어설 것이란 얘기다. 업계는 TV 시장의 판도가 액정표시장치(LCD)에서 OLED로 세대교체 되는 신호탄이라고 해석했다. 2011년 87.8%에 이르던 LCD TV 비중은 2012년 9..

양자 컴퓨터, 양자 암호

해커들은 말한다. ‘이 세상에 뚫리지 않는 암호는 없다.’ 그 말 그래도 암호의 역사는 창과 방패의 역사였다. 방패는 창에 뚫리지 않기 위해 재료를 바꾸고 강도를 바꾸며 점점 강해져 간다. 이에 맞추어 창 역시 그 방패를 뚫기 위해 날카로워지고 강해진다. 이처럼 암호는 점점 더 복잡해지지만 어딘가에는 이 복잡함을 푸는 실마리가 있게 마련이다. 안타깝게도 현대 기술은 암호의 실마리를 매우 빠르게 찾아낼 수 있다. 2019년 구글은 양자컴퓨터가 기존 슈퍼컴퓨터의 연산 능력을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양자컴퓨터는 0과 1이라는 컴퓨터의 기본 비트 단위에서 벗어나 ‘중첩’이라는 양자역학의 현상을 이용한다. 중첩은 하나의 입자에 여러 가지 상태가 확률적으로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즉 양자컴퓨터는 0,1의 상태를 동..

OLED TV의 약진

올해 글로벌 TV 시장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가 차지하는 비중이 10%에 달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LG전자가 주도 중인 OLED TV에 이어 삼성디스플레이가 양산을 준비 중인 퀀텀닷(QD)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한 TV가 등장하면 액정표시장치(LCD) TV의 시대도 수년 내 저물기 시작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3일 TV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올해 글로벌 TV 시장 점유율(판매 금액 기준)에서 OLED TV가 차지하는 비중 전망을 지난해 말 8.5%에서 최근 10.0%로 상향 조정했다. 글로벌 TV 시장 규모(123조 원)를 고려했을 때 2조 원가량어치의 OLED TV가 더 팔릴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업계에서는 OLED TV의 성장과 맞물려 10여 년간 TV 시장..

증강 현실, 군수용으로 본격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 기술인 AR(증강 현실). 이제는 실전에 나서는 일반 보병에게까지도 지급되는 시대가 열렸다. 미 육군이 보급하려는 IVAS(Intergrated Visual Augmented System: 통합형 시각 증강 체계)가 바로 그것이다. 이로써 외부 관측의 대부분을 육안에만 의존했던 보병들도 AR기술의 혜택을 입게 되었다. IVAS는 간단히 말해 군용화된 홀로렌즈(마이크로소프트의 증강현실 기기)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와 센서 어레이, 내장 디스플레이가 달린 광각 렌즈가 달려 있어, 착용자를 위해 정보를 생산 및 공유하고, 정보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GPS가 내장되어 있어 자신의 위치는 물론 동료 병사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아군이 탐지한 적군의 위치도..

LCD 값 상승, TV 회사들의 고민

최근 TV 제조사들은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 상승으로 LCD TV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현재 TV 시장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정도를 제외하면, 발광다이오드(LED) TV를 포함한 대부분의 TV가 LCD 패널을 쓰는 ‘LCD TV’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이 여파로 프리미엄급 제품인 OLED TV는 ‘아랫급’으로 여겨지는 LCD TV와의 가격차를 좁히며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OLED TV 시장 진출에 소극적이었던 삼성전자가 계열사인 삼성디스플레이와 경쟁관계에 있는 LG디스플레이(034220)의 OLED 패널을 납품받으려 한다는 소식까지 전해지며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지만, 계약 가능성이 전혀 없지만은 않다는 전망도 나온다...

도시생활형주택

원룸형(아파트형) 도시생활형주택 주임사 등록 가능 지난해 8월 18일 개정된 민간임대주택법에 따라 단기임대와 아파트 장기일반매입임대(8년) 제도를 폐지했습니다. 이에 따라 단기임대와 아파트 장기일반매입임대는 자진 말소나 자동 말소을 해 그 기간의 1/2이상 임대하면 임대등록주택의 혜택은 부여해주도록 했습니다. 도시형생활주택이란? ​ 도시형생활주택은 2009년 5월 부터 시행된 주택법에 근거을 두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1~2인 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하여 시행된 주거 형태로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3종류가 있으며, 국민주택 규모의 300세대 미만으로 구성됩니다. 도시지역에서만 건축할 수 있고 기반시설이 부족해 난개발이 우려되는 비도시지역은 제외되며 1세대당 주거 전용면적 85㎡ 이하인 ..

부기등기

부기등기 [ 附記登記 ] 요약 독립된 순위번호를 갖지 않고 기존의 등기에 부기번호(附記番號)를 붙여서 행하여지는 등기. 단순한 부기가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등기이다. 부기등기는 독립된 순위번호를 가지는 독립등기(獨立登記)와는 달리 기존의 등기에 부기번호를 붙여서 하는 등기로서, 새로운 등기가 주등기(主登記)와 동일 내지 연장임을 표시하려고 할 때나 새로운 등기가 주등기와 동일한 순위 또는 효력을 가지는 것을 명백하게 하려고 할 때에 하게 된다. 소유권 이외의 권리의 이전등기(부동산등기법 제156조의 2), 권리질권(權利質權)의 등기(142조의 2), 지상권(地上權)·전세권(傳貰權)을 목적으로 하는 저당권(抵當權)의 등기(141조), 환매권(還買權)의 등기(64조의 2), 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가..

오존층 보호, 환경을 구하는 과학

1980년대 패션을 말할 때 닭 볏처럼 높이 올려 세운 헤어스타일을 빼놓을 수 없다. 한껏 멋 부린 이들의 머리는 헤어스프레이와 무스로 뻣뻣하게 고정되어 있었다. 헤어스프레이의 인기는 1990년대 들어 급격히 감소한다. 헤어스프레이에 포함된 프레온 가스가 오존층을 파괴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다. 사람들의 헤어스타일을 단번에 변화시킨 이들은 과학자들이다.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Frank Sherwood Rowland)와 파울 크뤼천(Paul Crutzen), 마리오 몰리나(Mario J. Molina)는 프레온 가스가 미치는 오존층 파괴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국제사회에 알렸고 헤어스프레이를 비롯한 프레온 가스 제품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오존층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제시한 파울 크뤼천 오..

마이크로 LED, AR/VR의 솔루션인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Micro LED는 실리콘 베이스 OLED, DLP 및 L-COS 디스플레이를 대체할 AR/VR용 디스플레이의 최선의 선택으로 여겨짐. 위에서 언급한 다른 디스플레이보다 Micro LED는 더 얇고 고휘도, 고해상도, 저전력 소비, 긴 수명, 더 긴 사용시간 및 "번인" 현상에 대한 내성에 있어서 더 높은 기술적 우위를 보임. Micro LED는 픽셀 간격이 Micro 수준으로 줄어들어 초고해상도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크기에 적용 가능하며 매우 빠른 전환 속도를 가진 Micro 초 수준의 반응 시간으로 AR/VR기기가 요구하는 근접 시야 기술에 부합하는 디스플레이임. 홀로그램 도파관은 안경 형태로 구현되는 미래 AR광학 솔루션임. 이 기술은 개발 초기..

양자점 적용, OLED TV, 출항 준비 중

삼성디스플레이가 퀀텀닷 유기발광다이오드(QD-OLED)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OLED가 중국업체들이 장악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CD)를 따돌릴 수 있는 미래 먹거리로 각광받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대형 QD-OLED 패널을 올해 하반기 양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5일 디스플레이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최근 QD-OLED 패널이 적용된 모니터와 TV 시제품을 삼성전자, 소니, TCL 등 고객사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시제품을 계속해서 제작하고 있으며 고객사 전달 여부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힐 수 없다"며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QD디스플레이 양산을 준비 중에 있다"고 했다. QD-OLED는 LCD를 대신할 삼성디스플레이의 차세대 제품이다. LG디스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