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살아가자/일상의 지식 257

시간과 공간은 따로 또 같이, 시공간

'상대성 이론'이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두 관측자가 이 우주를 똑같이 볼 것인가에 관한 이론이라고 소개한 일이 있다. 여기서 ‘똑같음’의 기준이 무엇인지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식의 고전적인 상대론에서는 간단하게 상대적인 속도만큼 더하거나 빼면 움직이는 좌표계에서의 운동도 쉽게 기술했다. 고전 상대론이 기술하는 현상은 우리의 직관적인 경험과 일치한다. 조금 다르게 말하자면, 고전 상대론에서는 눈에 보이는 현상이 똑같음의 기준이다. 눈에 보이는 현상이 똑같으려면 그 현상의 배경이 되는 시간과 공간이 항상 똑같으면 된다. 이것이 고전적인 뉴턴 역학에서의 절대적인 시간과 공간이다. 서로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두 좌표계에 대해 시간과 공간은 절대적으로 똑같다. 이는 굳이 명시적으로 규정하지 ..

로봇에서 코봇으로

4차 산업혁명이 일으키고 있는 숨가쁜 변화가 산업 전 분야에 걸쳐 고르게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통신 시장을 꼽을 수 있는데, 5G 시스템이 미처 확산되기도 전에 벌써 글로벌 선진업체들은 6G 시스템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제조 분야 역시 마찬가지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전 세계 산업계는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에 대한 개념을 논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이보다 한 단계 더 확장된 개념인 ‘인더스트리 5.0(Industry 5.0)’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인더스트리 5.0의 키워드는 사람과 로봇의 공존 인더스트리 5.0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더스트리 4.0 모델의 개념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난 2011년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

OLED,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점령하여 가다

올해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이 채용되는 비중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해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AMOLED(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보급률이 39%를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OLED 패널의 점유율은 삼성과 애플의 플래그십 모델을 중심으로 잇따라 채용되며 2019년 31%에서 지난해에는 33%로 꾸준히 성장세를 보여 왔다. OLED가 모바일용 패널 시장에서 점유율을 키워나가면서, LCD(액정표시장치)의 입지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저온폴리실리콘(LTPS TFT) LCD' 패널 보급률은 지난해 37%에서 올해 33%로, ..

'퀀텀닷(QD)디스플레이 TV' 상용화를 향하여

#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가 '퀀텀닷(QD)디스플레이 TV' 상용화를 추진키로 합의하면서 양사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이 차세대 대형 디스플레이 기술로 QD디스플레이를 육성하겠다고 공헌한 만큼 앞으로 구성될 서플라이체인과 설비 투자, 또 QD디스플레이 진영 확대 전략에 관심이 쏠린다. 한종희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사장과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은 최근 QD디스플레이 상용화 및 LCD 공급 연장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삼성전자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양산을 준비하고 있는 QD디스플레이 패널을 자사 TV에 채택하고 삼성디스플레이는 삼성전자가 필요로 하는 LCD 공급을 위해 오는 3월 중단하려 한 LCD 생산을 연말까지 연장하는 것이 골자다. 삼성의 TV 사업과 디스플레이 사업을 총괄하는..

주기율표를 만든 사람들

“수헬리베 붕탄질산 플네나마…” 학창 시절 줄기차게 외웠던 원소 주기율표의 암기법을 기억할 것이다. 괴상한 주문처럼 들리지만 ‘수헬리베…’는 각 원소 이름의 앞 글자를 딴 것이다. ‘수’는 원자 번호 1번 수소, ‘헬’은 2번 헬륨, ‘리’는 3번 리튬을 뜻한다. 무작정 외웠지만 이 원소 주기율표에는 인류 과학사를 빛낸 커다란 정보가 숨어있다. 드미트리 멘델레예프(Dmitry Ivanovich Mendeleyev)와 헨리 모즐리(Henry Moseley)가 개발한 원소 주기율표를 통해 인류는 원자의 성질과 상관관계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인류는 화학의 중대한 기틀을 다질 수 있었다. 원소의 질량 크기대로 주기율표를 만든 드미트리 멘델레예프 17세기는 연금술이 성행했다. 연금술사들은 값싼 금속..

인공지능, 스마트 반도체 관련 용어들

저항 메모리(Resistive RAM: RRAM 또는 ReRAM)는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의 한 종류이다. RRAM은 부도체 물질에 충분히 높은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흐르는 통로가 생성되어 저항이 낮아지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일단 통로가 생성되면 적당한 전압을 가하여 쉽게 없애거나 다시 생성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나 전이금속 산화물, 칼코게나이드 등의 다양한 물질을 이용한 RRAM이 개발되고 있다. 이상, 위키백과 뉴로모픽 반도체 요약;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해 만든 반도체 칩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병렬 처리해 적은 전력으로도 복잡한 연산, 추론, 학습 등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자율주행차, 드론, 음성인식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

QD - OLED, 시장으로 나올 준비, 잉크젯 적용

삼성디스플레이가 충남 아산캠퍼스의 8.5세대(2200×2500㎜) 대형 퀀텀닷 유기발광다이오드(QD-OLED) 생산라인 Q1에 잉크젯 프린터를 추가 반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잉크젯 프린터는 QD-OLED의 핵심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로, 업계는 이 장비의 추가 반입은 양산이 막바지에 이르렀다는 것으로 해석한다. 총투자비 13조1000억원에 달하는 삼성의 초대형 프로젝트 ‘QD 디스플레이’ 전환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이다. 25일 디스플레이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7월 아산 Q1라인에 QD-OLED 양산을 위한 설비를 반입하기 시작했으며,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QD-OLED의 시범생산에 들어갔다. 올해 QD-OLED 생산량을 월 3만장쯤으로 잡고 있는 삼성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에 필..

미니 LED TV용 반도체 칩들

TV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미니 LED TV'가 떠오르고 있다. 기존 LED보다 크기가 작아서 동일한 TV 면적에 더 많이 배열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덕분에 더 밝고 세밀한 색 표현이 가능하고, 더욱 얇은 TV를 만들 수 있다. 글로벌 TV 업계가 주목하는 이 차세대 기술은 ‘미니 LED’를 필요한 시점에 더 정교하고, 효율적으로 구동∙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의 성능이 중요하다. 삼성전자는 혁신적인 성능을 가진 새로운 ‘미니 LED 구동 IC 2종(S6LP441, S6LDMB1)’을 선보이며 미니 LED TV 기술의 기준을 한 단계 높였다.삼성전자가 선보인 ‘미니 LED 구동 IC’는 한층 진화한 TV 화질과 효율을 가능케 하는 제품이다. 미니 LED 구동 IC 개발에 참여한 삼성전자 S.LSI사..

새로운 원소, 아인슈타이늄

아인슈타이늄은 1952년 11월 미국에서 있었던 수소폭탄 실험 생성물 속에서 발견된 원소다. 99개의 양성자와 99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면서 화학원소 주기율표 아랫부분 캘리포늄과 페르뮴 사이에 모호하게 자리를 잡고 있는데 원소기호는 Es이다. 앨버트 아인슈타인을 기념해 아인슈타이늄(einsteinium)이라고 명명했지만 아인슈타인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특수 원자로에서 극히 소량만 생산할 수 있는 만큼 사용처도 적었고 과학자들 역시 그 특성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었다. 무거운 원소 연구의 르네상스 열려 그러나 최근 과학자들이 베일에 가려져 있던 아인슈타이늄의 비밀을 밝혀내고 있다. 이 일을 수행하고 있는 사람들은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의 중원소 화학그룹을 이끌고 있는 레베카 아버젤(Rebecca ..

온도 측정, 실리콘 온도 센서 이야기

새롭게 출시되는 실리콘 온도 센서는 디지털 출력을 제공하고, 선형화가 필요 없으며, 소형 패키지로 제공되고, 전력 소모가 낮다. 경고 기능을 사용해 잠재적인 오작동을 알려주도록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전자 업계는 갈수록 더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고 있으며 온도 검출 역시 예외가 아니다. 온도 검출 솔루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저마다 장단점을 가진다. 실리콘 온도 센서는 꽤 선형적이나 다른 솔루션 대비 정확도는 떨어지는 편이다. 그러나 최근 실리콘 온도 검출 성능이 향상을 거듭함에 따라 실리콘 솔루션으로도 높은 분해능과 정밀도를 달성할 수 있게 됐다. 새 냉장고의 온도 표기, 정확할까? 때는 2020년 3월로, 영국에서는 이제 막 봉쇄령이 시행되려던 참이었다. 슈퍼마켓이 문을 닫을 것에 대비해서 식료품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