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와 생각들 560

6-3-6)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2019년에 박철휘 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굴절률 매칭 기능을 갖는 확산층, 즉 확산층으로 사용되는 고분자(PMMA) 나노 패턴 위에 굴절률 매칭층인 금속 산화막(알루미나, 산화 아연)을 코팅하여 보다 효과적인 광추출을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이 구조는 ITO와 은 전극을 갖는 미세 공진형 OLED(micro-cavity OLED)에도 적용되어 전류 효율, 전력 효율, 외부 양자 효율, 그리고 시야각에 따른 스팩트럼의 피크와 색좌표상에서의 이동 정도 등을 평가, 비교하였습니다. 2020년에 최준희 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기판 위에 주석(Sn)을 증착한 후에 열 산화 공정을 거쳐 나노 원뿔(nanocone) 모양의 주석 산화물 구조를 만들었고, 이를 내부 광 산란층으로 사용하였습니다. ..

6-3-5)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2018년, 황하 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극소의 화소를 갖는 초고해상도 OLED 제작을 위하여 나노 크기의 화소 구분층(nanosize pixel-defining layer nPDL)을 적용하였습니다. 이의 부가적인 효과로 금속-유기물 계면에서 회절 격자의 작용으로 인한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surface plasmon polariton) 손실을 줄여 광 추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따라서 효율도 증가하였죠. 이와 함께 여기자 형성 영역의 바깥으로의 여기자 확산을 통하여 고효율에서 효율이 급감하는 현상(efficiency roll-off)도 줄일 수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효과들은 효율 향상에 적극 기여하였고, 효율이 급감하는 임계 전류 밀도도 크게 올렸습니다. 2018년에 곽진호 박사(현..

6-3-4)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2015년, 이현준 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PAN Nanofibers와 SU-8 복합 폴리머층을 산란층(scattering layer)으로 제작하여 외부 외부 광 추출 구조로 활용하였습니다. 나노 파이버의 직경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고, 이를 LED 조명과 OLED에 적용하여 광 추출을 증가시키고 시야각을 개선하였죠. 광학적 특성은 주로 나노 파이버의 직경과 관련이 되며, 이는 공정 조건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백색광 LED 조명에 적용할 경우, 광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확산층으로 사용하여 눈부심을 줄였습니다. OLED에서 외부 양자 효율의 증가를 이루었죠. 2016년에 이근수 박사(현재 LG화학 근무)는 문재현 박사(ETRI)팀과 함께 은 나노선(nano-wire)을..

2020년 4월 17일, 금, 대학원 수업,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 1 (5)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학교 지침으로 현재는 5월 8일까지 온 라인 수업 예정) 의 수업 진행 상황 및 계획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5주차인 4월 17일부터는 LCD와 OLED를 각각 40분씩 온 라인 강의로 진행하며, 이와 함께 추가적으로 공부할 디스플레이 이슈들을 이 포스팅에서 설명할 생각입니다. 먼저 아래의 표와 강연용 첨부 파일을 참조 바랍니다. (강연용 파일은 조교 선생님을 통해서 인쇄물로 제공될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공부할 이슈는 아래 도메인 주소를 따라가세요. 이슈) OLED, 생산 자동화, 검사와 측정, 그리고 센서 이슈 http://blog.daum.net/jbkist/3166

2020년 4월 13일 (월), 학부 수업, 전기전자재료공학 (5)

5번째 온라인 수업 강의 자료를 올립니다. 학생들은 교내 복사실에서 인쇄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공부에서 포스팅 번호 1-10) 부터 1-19)까지를 공부하기 바랍니다. 학교 지침으로 온라인 수업은 5월 8일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여러분이 이 블로그를 잘 활용한다면 오프 라인 수업에 못지 않은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기를~

2020년 4월 10일, 금, 대학원 수업,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 1 (4)

강연은 1.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적용되는 촉각 센싱 기술 2. 전자기기에서의 정전기 현상 3. 청년이 바라는 지금, 대학원 생활 로 진행됩니다. 이는 수업용 블랙보드를 이용하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와 함께 학습할 자료는 군에 활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입니다. http://blog.daum.net/jbki..

2020년 4월 6일 (월), 학부 수업, 전기전자재료공학 (4)

4번째 온라인 수업 강의 자료를 올립니다. 학생들은 교내 복사실에서 인쇄불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공부에서 포스팅 번호 1-1) 부터 1-9)까지를 공부하기 바랍니다. 학교 지침으로 온라인 수업은 5월 1일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여러분이 이 블로그를 잘 활용한다면 오프 라인 수업에 못지 않은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기를~

2020년 3월 30일 (월), 학부 수업, 전기전자재료공학 (3)

온라인 수업, 세번째네요... http://blog.daum.net/jbkist/4742 먼저, 강의 자료를 올리고, 조교쌤이 이를 복사실에 맡길 겁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공부~ 메뉴의 1번~3번 노트를 읽어보기 바랍니다. 중간고사 이후, 노트 4번과 5번을 들어갈 때 기초가 될 수 있도록... 건강 관리, 자신의 앞날 관리를 함께 잘 하기를~

6-3-3)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2013년, 신세중 연구원(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은 RIE 공정을 통해 유리 기판과 ITO 양극 사이에 SU-8 고분자로 포물선 형태의 구조들을 랜덤하게 제작하여 광추출을 향상시켰습니다. 랜덤한 구조이어서 시야각에 따른 스팩트럼의 왜곡 현상도 적었으며, 기준 소자에 비해 외부 양자 효율은 48%가 증가하였죠. 제작 방법을 살펴보면, 석영 기판 위의 PMMA에 RIE 공정을 통해 패턴을 제작, 마스터를 만들고, 이를 통하여 PDMS 스탬프를 복제하였죠. 그리고 이 스탬프로 임프린팅 과정을 통하여 유리 기판 위의 SU-8 고분자에 나노 크기의 랜덤한 구조(nanosized random texture layer, nRTL)를 형성하였고, 이 위에 OLED 소자를 제작하였습니다. 2013년에 황주현 박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