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에 박철휘 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굴절률 매칭 기능을 갖는 확산층, 즉 확산층으로 사용되는 고분자(PMMA) 나노 패턴 위에 굴절률 매칭층인 금속 산화막(알루미나, 산화 아연)을 코팅하여 보다 효과적인 광추출을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이 구조는 ITO와 은 전극을 갖는 미세 공진형 OLED(micro-cavity OLED)에도 적용되어 전류 효율, 전력 효율, 외부 양자 효율, 그리고 시야각에 따른 스팩트럼의 피크와 색좌표상에서의 이동 정도 등을 평가, 비교하였습니다.
박철휘박사-2019-SR-Optical-.pdf
2.21MB
2020년에 최준희 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기판 위에 주석(Sn)을 증착한 후에 열 산화 공정을 거쳐 나노 원뿔(nanocone) 모양의 주석 산화물 구조를 만들었고, 이를 내부 광 산란층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주석 산화물 나노 원뿔의 지름과 크기는 증착된 주석막의 두께로 조절할 수 있죠. 이를 통하여 23% 정도의 외부 양자 효율 증가를 달성하였습니다.
최준희박사-2019-N-Self-catalytic-.pdf
1.27MB
'공부와 생각들 > 디스플레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4-2) OLED, 발광의 개요, TADF, DIaNA 연구 (0) | 2020.04.19 |
---|---|
6-4-1) OLED, 발광의 개요 (0) | 2020.04.14 |
6-3-5)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0) | 2020.04.13 |
6-3-4)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0) | 2020.04.12 |
6-3-3)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0) | 2020.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