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와 생각들 560

코너 1~ 5), 그리고 코너 6)을 마무리하며~

지난 해부터 지금껏, 약 1년여 동안, 총 다섯개의 코너, 약 200여개의 노트를 만들어왔습니다. 코너 1)에서 코너 5)까지의 공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시작인, 브라운관(CRT)으로부터... PDP...LCD... OLED 등을 거쳐 최근 핫 이슈가 되고 있는 양자점 OLED에 이르기까지 디스플레이의 과거로부터 현재, 향후 약 5년에서 10년까지를 살펴보고, 바라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저의 은퇴가 7년 정도 남았으므로 이 기간 동안은 만들어진 내용들을 꾸준히 수정, 보완하고 업 그레이드하여갈 것입니다. 그리고, 코너 6)은 특히 OLED와 관련하여 우리 연구실,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디스플레이 및 나노 시스템 연구실 (DIsplay and NAno system lab., DIaNA) 이 연구..

2020년 5월 4일 (월), 학부 수업, 전기전자재료공학 (8)

8번째 온라인 수업 강의 자료를 올립니다. 학생들은 교내 복사실에서 인쇄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멀리 있는 학생들에게는 조교 선생님이 우편으로 보냅니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공부'메뉴에서 포스팅 번호 2-5) 부터 2-14)까지를 공부하기 바랍니다. 중간고사는 수업 시간인 5월 11일, 오전에 시행할 생각입니다. 이는 추후, 5월 6일에 안내가 있을 것이며. 시험 범위는 내가 인쇄물로 제공한 교재로 5월 4일까지 배운 부분 즉, '전자재료 소자'의 기반 강의의 전체, 1-1)에서 1-35)까지입니다. '시험 범위 제외'라고 언급한 부분은(슬라이드 몇 장 정도에 불과함) 제외합니다. 중간고사 이후에도 학교의 권고 사항으로 온라인 수업은 일단, 5월 25일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전자재료 소자의 기..

2020년 5월 1일, 금, 대학원 수업,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 1 (7)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학교 지침으로 현재는 5월 8일까지 온 라인 수업 예정) 의 수업 진행 상황 및 계획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5주차인 4월 17일부터는 LCD와 OLED를 각각 40분씩 온 라인 강의로 진행하며, 이와 함께 추가적으로 공부할 디스플레이 이슈들을 이 포스팅에서 설명할 생각입니다. 먼저 아래의 표와 강연용 첨부 파일을 참조 바랍니다. (이는, 앞선 포스팅 참조, http://blog.daum.net/jbkist/4794) 아래, 강연용 파일은 조교 선생님을 통해서 인쇄물로 제공될 것입니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공부 메뉴에서 3-8) ~ 3-11), 그리고 4-9)~4-12)를 공부 바랍니다. 이에 더하여 지금까지 (추가) 공부한 내용입니다. 1) 기다려지는 디스플레이들 2) 한..

2020년 4월 27일 (월), 학부 수업, 전기전자재료공학 (7)

7번째 온라인 수업 강의 자료를 올립니다. 학생들은 교내 복사실에서 인쇄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공부'메뉴에서 포스팅 번호 1-30) 부터 2-4)까지를 공부하기 바랍니다. 중간고사는 수업 시간인 5월 4일, 오전에 시행할 생각입니다. (중간고사 일자를 5월 11일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전기전자재료공학의 기본 수업인 1-35)까지 마친 후에 보려합니다.) 이는 추후 안내가 있을 것이며. 시험 범위는 내가 인쇄물로 제공한 교재로 4월 27일까지 배운 부분이며, '시험 범위 제외'라고 언급한 부분은(슬라이드 몇 장 정도에 불과함) 제외합니다. (범위도 전자재료소자 메뉴의 1-35)까지가 될 듯 합니다.) 학교 지침으로 온라인 수업은 5월 4일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연장될 가능성도 ..

6-4-2) OLED, 발광의 개요, TADF, DIaNA 연구

2018년 박찬혁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TADF형 OLED 소자를 발표하였습니다. 즉, 수송층을 개선, 통합하였고, 발광층의 도핑 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였으며, 정공 주입층과 ITO 양극의 일함수를 조절하여 소자 구조를 간소화하였죠. 이러한 구조 최적화와 간소화를 통하여 효율 상승, 저전력 구동과 함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선보였습니다. 요약하면, 세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효율이 높은 소자를 제작하였는데 정공 및 전자 전송층에서는 전하 밸런스를 맞추었고, 발광층에서는 도핑 농도를 잘 선택하였으며, 정공 주입 등을 향상시켰습니다. 아래 두 원고(슬라이드)들은 지금 게재 예정이나 투고 중인 연구 내용입니다. 이에 관하여는 우리 연구실 ..

2020년 4월 24일, 금, 대학원 수업,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 1 (6)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학교 지침으로 현재는 5월 8일까지 온 라인 수업 예정) 의 수업 진행 상황 및 계획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5주차인 4월 17일부터는 LCD와 OLED를 각각 40분씩 온 라인 강의로 진행하며, 이와 함께 추가적으로 공부할 디스플레이 이슈들을 이 포스팅에서 설명할 생각입니다. 먼저 아래의 표와 강연용 첨부 파일을 참조 바랍니다. (이는, 앞선 포스팅 참조, http://blog.daum.net/jbkist/4794) 아래, 강연용 파일은 조교 선생님을 통해서 인쇄물로 제공될 것입니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공부 메뉴에서 3-1) ~ 3-7), 그리고 4-1)~4-8)을 공부 바랍니다.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입니다. 1) 기다려지는 디스플레이들 2) 한국의 디스플레이 산업, 선..

2020년 4월 20일 (월), 학부 수업, 전기전자재료공학 (6)

6번째 온라인 수업 강의 자료를 올립니다. 학생들은 교내 복사실에서 인쇄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공부에서 포스팅 번호 1-20) 부터 1-29)까지를 공부하기 바랍니다. 중간고사는 수업 시간인 5월 4일, 오전에 시행할 생각입니다. (중간고사 일자를 5월 11일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전기전자재료공학의 기본 수업인 1-35)까지 마친 후에 보려합니다.) 이는 추후 안내가 있을 것이며. 시험 범위는 내가 인쇄물로 제공한 교재로 4월 27일까지 배운 부분이며, '시험 범위 제외'라고 언급한 부분은(슬라이드 몇 장 정도에 불과함) 제외합니다. (범위도 전자재료소자 메뉴의 1-35)까지가 될 듯 합니다.) 학교 지침으로 온라인 수업은 5월 4일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연장될 가능성도 없지 ..

6-4-1) OLED, 발광의 개요

빛은 두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집니다. 즉, 열 방사(thermal radiation)와 발광(luminescence)이죠. 온도 방사는 물체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빛이 나오는 현상으로, 자연에서는 태양이 대표적입니다. 빛을 발하는 별에서도 별의 색깔, 즉 별빛의 스펙트럼을 통해서 별의 온도를 추정할 수도 있죠. 우리 생활 속에서는 백열 전구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필라멘트가 가열되면서 빛이 만들어지죠. 물체에서 빛이 만들어지는 이유는 흔히 단순합니다. 즉, 모든 물체는 제각각 원자나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원자핵을 중심으로 전자들이 주위의 고유 궤도, 즉 에너지 준위에서 움직이며 존재하고 있죠. 외부로부터 임의의 에너지가 전달되면, 전자들이 높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원래의 준위로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