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와 생각들 560

2021년 4월 16일, 금, 정보디스플레이 기술 I, 대학원 수업

blog.daum.net/jbkist/2797?category=855192 1-17) 액정 디스플레이(LCD) 소개 LCD는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입니다. 물론 모바일 기기에서 대형 TV에 이르기까지 직시형 디스플레이로서 널리 사용되지만, 크기가 작고, 해상도가 높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2798?category=855192 1-18) 그 외의 비자발광, 직시형 디스플레이들 전자 종이를 선도하는 EPD와 디스플레이 맹주, LCD 이외에도 스스로 빛을 만들지는 못하지만, 햇빛이나 별도의 광원을 이용해서라도 디스플레이로서의 시장 진입을 시도하거나, 어느 정도 진입 blog.daum.net 더! 공부하기 blog.daum.net/..

2021년 4월 9일, 금, 정보디스플레이 기술 I, 대학원 수업

blog.daum.net/jbkist/2792?category=855192 1-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소개 PDP는 광 발광(PL) 원리를 이용한 자발광형, 직시형 디스플레이입니다. 먼저 플라즈마를 이야기하여 보죠. 플라즈마는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전하른 띈 기체로, 고체, 액체, 기체에 이은 제4의 물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2795?category=855192 1-15) 그 외의 자발광 기구와 디스플레이 응용 음극 발광(CL) 현상을 이용한 CRT, FED, VFD, 전계 발광(EL) 현상을 이용한 LED, OLED, TFELD, 그리고 광 발광(PL) 현상을 이용한 PDP 이외에도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자발광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

2021년 4월 6일, 13일, 27일, 화요일, 전기전자재료공학 (학부)

blog.daum.net/jbkist/4030?category=855194 1-11. 금속 결정의 원자 배열 금속은 금속 결합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금속만의 특징을 지니고 있죠. 먼저 금속은 차갑습니다. 세라믹에 비하여, 금속은 열을 잘 전달하기 때문이죠. 열 전도도가 높습니다. 금속은 무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031?category=855194 1-12. 금속 결정의 단위 셀 결정, 특히 금속 결정에서의 단위 셀(unit cell), 혹은 단위 정에 관하여 알아보죠. 단위 정은 결정을 구성하는 기본 구조입니다. 우리 가족이 좋아하는 빨간 벽돌담에서 벽돌 하나가 되는 셈이죠. blog.daum.net 4월 13일 blog.daum.net/jbkist/402..

2021년 4월 2일, 금, 정보디스플레이 기술 I, 대학원 수업

blog.daum.net/jbkist/2780?category=855192 1-10) 발광 다이오드(LED) 소개 LED는 전계 발광형, 발광형 반도체 소자이나, LCD의 후면 광원(back-light)으로 사용이 되고, 또한 LED들을 배열하여 아웃 도어용 디스플레이, 즉 LED 디스플레이로 운영 중이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2781?category=855192 1-11)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소개 OLED는 전계 발광에 의해 동작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로써, 현재까지의 디스플레이들 중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지고, 또한 공정 온도가 낮아 유리 기판은 물론 플라스틱 기판에도 만들어지므 blog.daum.net blog.daum.ne..

2021년 3월 26일, 금, 정보디스플레이 기술 I, 대학원 수업

강의 blog.daum.net/jbkist/2772?category=855192 1-7) 음극선관(CRT) 소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은 직시형, 자발광 디스플레이로서, 음극으로부터 발생, 가속되는 전자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음극 발광(CL) 원리로 동작합니다. 음극선관은 음극으로부터 전자선을 발생시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2774?category=855192 1-8)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소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는 CRT가 지니고 있는 결정적인 약점들, 즉, 열전자 방출로 인한 온도 상승, 전자들의 포커싱과 가속을 위한 고전압 인가, 그리고 주사 방식으로 영상을 만들어야 하기 blog.daum.net blog.daum.net/j..

2021년 3월 23일, 30일, 화요일, 전기전자재료공학 (학부)

강의 영상, 주기율표 + 화학결합 blog.daum.net/jbkist/4022?category=855194 1-4. 주기율표 자연과 우주의 모든 것들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신화나 전설, 종교, 그리고 신의 능력일까? 과학의 영역에서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공간 내의 모든 물질들은 우주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것으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023?category=855194 1-5. 화학적 결합, 고체 만들기 공기 속에는 질소, 산소, 아르곤, 이산화탄소와 같은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죠. 질소와 산소는 각각 2개의 원자가 결합하여 질소 분자(N2)와 산소 분자(O2)를 만들고, 탄소 원자 1개와 산소 원자 2 blog.daum.net blog.daum.net/jbki..

2021년 3월 19일, 금요일의 과학터치,디스플레이 이야기

blog.daum.net/jbkist/5780?category=855154 디스플레이 이야기, 총 5호 시리즈 중 1권 발간, 판매 중 한국의 1등 산업 정보 디스플레이 I n f o r m a t i o n d i s p l a y 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 대학 및 대학원생, 일반인 들을 대상으로 하는 우정, 주병권 작가의 편하게 읽으며, 깊게 알아가는 정보 디 blog.daum.net '금요일에 과학터치'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의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금요일에 과학터치'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과학이 알고 싶어? 과학 기술 분야의 모든 지식을 한곳에서 과학 꿈나무들을 위한 멘토링 스쿨 '금요... blog.naver.com

2021년 3월 12일, 19일, 금, 정보디스플레이 기술 I, 대학원 수업

강의 자료 blog.daum.net/jbkist/2768?category=855192 1-4) 전자 디스플레이, 변천 벽화와 종이, 사진, 그리고 영화를 거치면서 정보 디스플레이는 진화를 거듭하여 왔으며, 마침내 현재의 전자 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에 이릅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전자 디스플레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2769?category=855192 1-5) 디스플레이의 분류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을 여러 특징들을 토대로 하여 분류하는 방법은 실로 다양합니다. 먼저, 보는 방식에 따라 화면을 직접 보는 직시형(direct view type), 크기가 작고 해상도가 높은 마이크로 디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5785?ca..

2021년 3월 5일, 금, 정보디스플레이 기술 I, 대학원 수업

반갑습니다. 이번 학기에는 우정 블로그, 디스플레이 공부 메뉴에서 1-1) ~ 1-26)까지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교재는 아래 링크에서 구입하세요. blog.daum.net/jbkist/5778 16) 디스플레이 이야기, 1권, 알아가기 한국의 1등 효자 산업 '정보 디스플레이' 그 이야기를 다섯권의 시리즈로 펼쳐갑니다 30여년간 연구소에서, 학교에서 오로지 정보 디스플레이를 가르치고, 연구하였고 국가의 디스플레이 개발사 blog.daum.net 첫수업에서는 먼저, 이번 학기 수업을 소개하고 다음으로, 1-1)에서 1-3)까지를 공부하여 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시간 여유가 있다면, 2-1) 이후로도 진행할 생각입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바랍니다. 질의 응답과 모든 논의는 아래 댓글로 가능합니다. 사랑하는..

2021년 3월 2일, 9일, 16일, 화요일, 전기전자재료공학 (학부)

반갑습니다. 이번 학기에는 우정 블로그, 전자재료 소자 메뉴에서 1-1. ~ 1-35. 까지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첫수업에서는 먼저, 이번 학기 수업을 소개하고 다음으로, 1-1. 에서 1-3.까지를 공부하여 보고자 합니다. 첫수업에서는 수업 소개와 블로그 내용을 안내하였네요. 다음 수업(3월 8일)에서 진도를 계속 이어가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바랍니다. 질의 응답과 모든 논의는 아래 댓글로 가능합니다. 사랑하는 울 학생들에게 유익하기를~ blog.daum.net/jbkist/4019?category=855194 1-1. 원자 모델 원자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시작은 영국의 물리학자, 존 돌턴(John Dalton, 1766년~1844년, 영국)부터입니다. 그는 모든 물질들은 원자로 구성 되어있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