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경(94) LG그룹 명예회장이 14일 별세했다. 산업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에 1950~1980년대 전자 산업과 화학 산업의 씨를 뿌렸고, 수확까지 해 오늘날 국가 경쟁력의 기틀을 닦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1970년 LG그룹(당시 럭키그룹) 2대 회장으로 취임해 25년간 매출 260억원에서 30조원대로 1150배 성장을 이뤄냈다. 이 기간 중 직원 수도 2만명에서 10만명으로 증가했다. 70세이던 1995년 "21세기를 위해서는 젊고 도전적인 인재들이 그룹을 이끌어야 한다"며 장남인 고(故) 구본무 회장에게 회장직을 물려주고, 이후 24년을 소탈한 자연인으로 살았다. 당시 국내 대기업 최초의 '무고(無故) 승계'였다. 새로운 세대가 소신 있게 경영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창업 세대 원로회장단 동반 퇴진도 단행했다. 기업인으로 실적 못지않게 마무리까지 잘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5세에 기업인의 삶을 시작한 그는 크림, 치약에서부터 라디오, TV까지 45년 동안 LG그룹의 성장을 이끌었고, '아름다운 승계'를 한 뒤 마지막 24년은 난(蘭)·버섯 등 자연과 함께 보냈다.
1925년 경남 진양(1995년 진주시로 통합)에서 태어난 고인(故人)은 구인회 LG창업주의 장남이자, 지난해 작고한 구본무 LG그룹 회장의 아버지다. LG그룹 창업 초기인 1950년 25세의 나이로 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에 입사한 뒤 부친과 함께 LG그룹의 성장을 이끌었다. 구 명예회장은 입사 20년 동안 생산 현장을 누비며, '공장 지킴이'라 불렸다. '이사'라는 직함에 어울리지 않게 직접 가마솥에 원료를 붓고 불을 지펴 국내 최초의 화장품 '동동구리무'(럭키크림)를 만들었다. 판자를 잇대어 벽을 만든 공장에서 숙직할 때면 판자벽 사이로 모래바람이 들어왔다. 흙먼지를 뒤집어쓰고 허름한 야전 점퍼에 기름을 묻히고 다니는 그의 모습은 영락없는 현장 근로자였다. 사람들이 부친인 구인회 창업주에게 "장남에게 너무한 거 아니냐"고 말할 정도였다. 구인회 회장은 "대장간에서는 하찮은 호미 한 자루를 만드는 데에도 수없는 담금질로 무쇠를 단련한다. 고생을 모르는 사람은 칼날 없는 칼이나 다를 게 없다"며 현장 수업을 고집했다.
“필생의 업으로 경영 혁신을 생각했고, 혁신의 대미(大尾)로 나의 은퇴를 생각했다.” 1995년 2월. 구 명예회장은 사장단들에게 “그간 혁신을 성공시킬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노력을 충실히 해왔고, 그것으로 나의 소임을 다했다. 이제부터는 젊은 세대가 그룹을 맡아서 이끌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WTO 체제 출범 등 본격적인 무한 경쟁 시대를 맞아 글로벌화를 이끌고 미래 유망 사업을 펼치기 위해서는 젊고 도전적인 사람들이 주도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그는 멋진 은퇴보다는 잘된 은퇴가 되길 기대했다. “육상 계주에서 앞선 주자가 최선을 다해 달린 후 타이밍을 놓치지 않고 배턴 터치가 이뤄졌을 때 ‘잘됐다’는 표현을 하듯이 경영 승계도 마찬가지라 생각한다”는 뜻을 주변에 전했다.
구 명예회장은 산업화 초기 우리 기업사(史)에서 여러 가지 혁신 성공 사례를 만들어냈다. 1970년 우리나라 기업 최초로 락희화학의 기업공개를 단행해 투명 경영을 선도했다. 당시만 해도 기업공개를 기업을 팔아넘기는 것으로 오해해 주변에서 반대의 목소리가 많았지만, 그는 “기업공개는 앞으로 거스를 수 없는 큰 흐름이자 선진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 코스”라며 뜻을 굽히지 않았다. 이어 전자 업계 최초로 금성사가 기업공개를 하며 주력 기업을 모두 공개한 한국 최초 그룹이 됐다. 또 1990년부터 남들보다 한발 앞서 ‘책임과 자율 경영’ ‘고객 중심 경영’을 펼쳤다.
이상, 출처; 조선비즈
'70'이란 숫자는 LG그룹 가문엔 특별한 의미가 있다. 구자경 LG 명예회장이 큰아들 구본무 회장에게 경영권을 물려줬을 때 나이가 일흔이었다. 그는 환갑 무렵부터 지인들에게 "70세까지만 하고 물러나겠다"고 했다. "정신 맑을 때까지만 일하고 추한 모습 안 보이겠다"는 뜻이었다. 그는 정확히 약속을 지켰다. 당시 그가 '명예회장'직을 달고 막후 경영을 할 것이란 말도 나왔다. 하지만 그는 후계자에게 모든 걸 맡겼다. 사무실에서도 모습을 보기가 힘들었다. 그때 나온 말이 '한국 최초의 무고(無故) 승계'였다. 경영자가 사망하거나 큰 사고를 당하는 돌발적 유고(有故) 상황이 없는데도 물 흐르듯 경영권 승계와 세대교체가 이뤄지는 국내 첫 사례를 남겼다.
구자경은 충남 천안에 설립한 천안연암대학 인근 농장에서 된장 연구를 하며 여생을 보냈다. 그곳에 공장을 차려놓고 "어머니의 된장 맛이 그립다"며 제대로 된 된장을 꼭 만들겠다고 했다. 영락없는 '시골농부' 모습으로 24년을 보냈다. 구자경은 창업주 구인회 회장의 갑작스러운 타계로 그룹을 책임지면서 '준비 없는 후계자'란 걱정들이 있었다. 하지만 회장 재임 25년간 그룹 외형을 매출 260억원에서 30조원대로 1150배 키웠다. 가마솥으로 화장품 크림을 만들고 라디오·선풍기·TV를 조립하던 락희·금성을 글로벌 화학·전자의 LG그룹으로 성장시켰다. "내 자식만큼은 준비된 리더가 되게 하겠다"며 그룹의 미래 청사진까지 만들어놓은 뒤 물러났다. 퇴임 10년 전 미리 은퇴를 선언한 것도 후계자와 그룹을 위한 배려였다. 공장에서 기름밥 먹으며 20여년간 혹독한 경영수업을 받았던 그는 장남에게도 엄격했다. 고 구본무 회장은 바통을 이어받을 때까지 20년 넘게 이 부서 저 부서 다니며 온갖 궂은일을 했다. 그는 아버지에 대해 "다정한 기억보다 무서운 기억이 많다"고 했다.
일흔셋에 작고한 구본무 회장도 아버지처럼 70세 은퇴를 염두에 뒀을 것이라고 한다. 회장직을 이어받을 후계자의 나이를 고려해 70세를 넘겼지만 결국 70대 초반에 그만둔 결과가 됐다. 같은 뿌리에서 갈라진 LG와 GS는 280년 전쯤 사돈관계를 맺으면서 인연이 시작됐다. 두 그룹은 '인화단결, 정도(正道)경영, 무고승계' 등에서 서로 닮았다. 허창수 GS그룹 회장도 "오래전부터 은퇴를 생각해왔다"며 이달 초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71세에 무고 승계를 한 셈이다. 경영권을 놓고 부자간, 형제간 소송까지 벌이는 한국 기업계에 두 가문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상, 출처; 조선일보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2/15/2019121501594.html
'알고 살아가자 > 사람과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키 구라모토, Lake Louise (0) | 2020.01.11 |
---|---|
진중권, 누구일까 (0) | 2020.01.05 |
김우중 회장... 그래도 한 시대를 풍미했지요 (0) | 2019.12.10 |
청자의 빛깔, 고려청자 (0) | 2019.09.26 |
이타미 준, 그의 이야기 (0) | 201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