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3년 3월6일 베네치아에서 초연된 주세페 베르디 작곡의 ‘라 트라비아타’는 한국인들에게 특히 친숙한 오페라다. 이 곡은 1948년 1월 부민관에서 ‘춘희(椿姬)’라는 제목으로 한국인들이 최초로 공연한 오페라이기도 하다. 세계적으로도 오페라라면 베르디를 떠올리고 베르디라면 ‘라 트라비아타’를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라 트라비아타’의 초연이 축복받은 것은 아니었다. 이 오페라는 극중에서 애절하게 시들어 가는 고급 매춘부 여주인공인 비올레타 발레리의 타고난 운명을 담아냈다. 그런 역경이야말로 이 오페라의 진가를 말해준 것이기도 했다. 이 작품은 그때까지 오페라들이 고대의 신화나 전설 또는 역사나 괴테의 ‘파우스트’ 같은 고전을 소재로 했던 정석을 벗어난 것이었다.
라 트라비아타’는 19세기의 이야기인 데다 소재도 고급 창녀를 주인공으로 한 것이었다. 더욱이 베르디 자신이 그 주인공 알프레도와 비슷한 처지여서 비난은 더 거셌다. 베르디는 부인과 세 자녀를 병으로 잃고 좌절 상태에 빠졌다가 그의 오페라 ‘나부코’에 출연한 여가수 주세피나 스트레포니와 눈이 맞아 동거상태였던 것이다. 문제는 주세피나가 이미 한 남자가수와 극장 지배인 사이에서 각각 아이를 둔 미혼모였고 다른 스캔들도 많았다. 그것이 ‘라 트라비아타’의 주인공 비올레타를 연상케 했다. 실은 베르디가 ‘라 트라비아타’의 원본 격인 연극 ‘춘희’를 보고 감동해 이를 오페라화한 것도 그런 동기에서였다. 실은 소설 ‘춘희’도 그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의 체험이 배어 있는 것이었다.
베르디는 이듬해 극의 시점을 한 세기 전으로 끌어올려 다시 공연한 결과 오페라 사상 최고의 히트를 쳤다. 이로써 그는 신화나 고전에 의존하는 오페라의 정석을 고치는 한편 ‘기품 있는 매춘부’의 패러다임까지 제시한 셈이다.
이상, 출처;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00301510113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 거장 베르디(1813~1901년)의 대표작 '라 트라비아타'가 초연된 건 19세기 중반이다. 파리 방문 중 베르디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아들이 쓴 작품을 원작으로 만든 연극 '동백꽃 아가씨'를 본 뒤 밤잠을 설쳤다. 파리 사교계의 여인 비올레타와 귀족 청년 알프레도의 비극적인 사랑을 담은 줄거리가 이 명작곡가의 마음을 뒤흔든 것이다. 이탈리아로 돌아와 '리골레토'의 작가 피아베에게 대본을 의뢰했고 그로부터 초안이 나오자마자 곡을 만들어 한 달 만에 전곡을 완성하는 열정을 보였다.
베르디의 대표 오페라로 손꼽히는 '라 트라비아타'의 줄거리는 이렇다. 프랑스 파리 사교계의 꽃으로 매일 밤 파티와 술로 세월을 보내는 비올레타. 어느 파티에서 1년간 그를 사모해온 청년 알프레도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비올레타는 사교계 생활을 청산하고 알프레도와 평범한 삶을 꿈꾸지만, 그를 탐탁지 않게 여긴 알프레도 아버지의 강요로 이별을 선언한 뒤 다시 사교계로 돌아간다. 알프레도 역시 그녀에게 심한 모욕을 주고 외국으로 떠난다. 타락한 삶으로 병에 걸린 비올레타는 뒤늦게 진실을 알고 달려온 알프레도의 품에 안겨 '착한 여자와 결혼하라'는 유언을 남긴 채 숨을 거둔다.
하지만 초연 공연은 베르디의 기대를 저버리고 청중들의 야유 속에서 막을 내렸다.이유는 줄거리의 주인공 캐릭터와 가수 이미지가 너무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올레타 역의 여가수는 너무 뚱뚱했고, 알프레도를 맡은 테너는 감기에 걸려 코맹맹이 소리를 냈다. 명배우들의 연기로 옷을 갈아입으면서 작품은 자리를 잡기 시작했고 '축배의 노래' 등 베르디가 창조해낸 명아리아는 빛을 발했다.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는 수 많은 수식어가 필요없는 명곡 중의 명곡이다. '아이다'와 '리골레토'와 더불어 베르디의 3대 오페라로 꼽히는 '라 트라비아타'는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의 연극 '동백꽃 아가씨'를 원작으로 한 작품. '타락한 여인', '잘못된 길로 들어선 여인'을 뜻하는 '라 트라비아타'는 탄탄한 원작과 사교계의 고급 무희라는 획기적인 소재, 짜임새 있는 구성이 돋보이는 오페라다. 원작을 토대로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가 대본을 쓰고 베르디가 작곡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48년 명동 시공관에서 처음 공연돼 '춘희'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상, 출처; 국제신문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130321.99002091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