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살아가자/일상의 상식

추워진 가을, 가려우세요?

BK(우정) 2021. 10. 21. 04:40

건조하고 추워진 날씨에 몸 여기저기가 가렵다고 느낀 적 있으신가요? 습도가 낮은 가을과 겨울엔 가려움을 유발하는 피부건조증이 쉽게 생깁니다. 날씨가 서늘해지면 땀샘에서 분비되는 땀이 줄고 피부에 있는 기름샘인 피지선이 위축됩니다. 피지선이 위축되면 지방 막으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던 피지가 줄어듭니다. 씻을 때 지나치게 각질을 제거해도 가려움증이 일어납니다. 피부의 상피구조를 형성하는 각질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에서 몸을 보호합니다. 각질이 손상되면 세균이나 꽃가루, 곰팡이, 먼지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피부 안쪽까지 쉽게 도달합니다. 그 결과 세균성 습진이나 염증,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려움은 일반적으로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히스타민은 외부의 자극이 가해졌을 때 우리 몸을 방어하기 위해 분비되는 물질입니다. 백혈구가 나쁜 물질을 없애기 위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히스타민이 혈관을 확장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히스타민이 표피층에 있는 신경인 ‘자유신경종말’과 만나게 됩니다. 통각 수용체인 자유신경종말이 히스타민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대뇌피질(두정엽)은 이 자극을 가려움이라고 판단하게 됩니다.


가려움은 통증의 일종입니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첸 조우펭 교수팀은 고통에 반응하는 ‘BRAF’ 유전자가 활성화되도록 조작한 실험쥐의 행동을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쥐는 고통스러워하기보다 온 몸을 계속 벅벅 긁었습니다. 가려움과 고통의 신호 전달경로가 서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입니다. 가려움이 괴로운 건 한번 긁으면 계속 긁고 싶고, 긁을수록 가려움이 더 심해진다는 겁니다. 가려운 곳을 긁으면 뇌는 이것을 통증으로 인식해 이 통증을 줄이려 ‘세로토닌’을 분비합니다. 세로토닌은 행복한 감정을 느끼게 해 주기 때문에 긁었을 때 시원함과 쾌감을 느낍니다. 그러나 세로토닌은 가려움을 전달하는 신경회로를 자극해서 가려운 증상을 더 악화시킵니다.

 


긁어서 시원함을 느끼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일 뿐, 긁으면 긁을수록 오히려 피부가 더 손상됩니다. 오히려 피부가 점점 예민해져서 가려움을 더 느끼게 되는 악순환이 일어나지요. 가려움은 스트레스나 불안, 긴장 등 심리 요인에 의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가려울 때는 무조건 긁기보다 미지근한 물로 씻어내고, 심리적인 안정을 취하는 게 좋습니다.

 

 

이상, 출처; 동아사이언스

[카드뉴스] 긁으면 긁을수록 더 가려운 이유 : 동아사이언스 (dongascienc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