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와 생각들/디스플레이 공부

6-4-2) OLED, 발광의 개요, TADF, DIaNA 연구

BK(우정) 2020. 4. 19. 06:54

 

 

2018년 박찬혁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TADF형 OLED 소자를 발표하였습니다.  즉, 수송층을 개선, 통합하였고, 발광층의 도핑 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였으며, 정공 주입층과 ITO 양극의 일함수를 조절하여 소자 구조를 간소화하였죠.  이러한 구조 최적화와 간소화를 통하여 효율 상승, 저전력 구동과 함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선보였습니다.  요약하면, 세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효율이 높은 소자를 제작하였는데 정공 및 전자 전송층에서는 전하 밸런스를 맞추었고, 발광층에서는 도핑 농도를 잘 선택하였으며, 정공 주입 등을 향상시켰습니다.

 

박찬혁박사-2018-OM-Simplified-.pdf
1.09MB

 

아래 두 원고(슬라이드)들은 지금 게재 예정이나 투고 중인 연구 내용입니다.  이에 관하여는 우리 연구실 박수종 연구원이 요약을 하였으니 참조바랍니다.  논문이 출간되면 내용을 좀 더 보완하겠습니다.

 

Operational stability analysis of blue TADF OLEDs using impedance spectroscopy; 청색 지연형광 소자의 수명을 향상 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중에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Impedance spectroscopy를 활용하여 열화에 따른 HTL/EML 계면의 전화 분포 특성을 파악함. 계면 축적 전하를 줄이고 HTL/EML 계면이 안정하도록 설계하면 열화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 - Capacitance vs Frequency curve를 통한 carrier의 축적 정도 확인, - HTL/EML 계면 별 열화에 따른 peak capacitance drop을 통해 계면의 안정성 확인, - 열화 개선을 위해선 HTL/EML의 injection barrier을 줄이고(~0.2eV), HTL/EML간의 계면이 안정한 소자의 이용이 필요, - Impedance spectroscopy를 통해 계면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소자의 수명을 간접적으로 예측

 

 

Stability analysis and optimized structure of blue TADF OLEDs using a powerful and quantitative capacitance-voltage method; Impedance spectroscopy를 활용하여 청색 지연형광 소자의 열화에 따른 EML/ETL 계면의 전화 분포 특성을 파악함.  Exciton confinement 되며 불안정 물질의 최소 두께로 제작하면 안정적인 소자 제작이 가능함; - 불안정한 물질(DPEPO)의 두께 증가는 열화 특성이 불안정함, - 불안정한 물질이 제거되더라도 소자 성능 관점에서 exciton confinement이 되지 않음에 따른 불안정성을 확인, - 불안정한 물질(DPEPO)의 최적 두께(10 nm)를 확인

 

 

 

6-4-2. Display 심화, 지연 형광(TADF), DIaNA 연구-복사.pdf
1.8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