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밍웨이가 쓴 최고의 이야기’로 꼽히는 <노인과 바다>는 알다시피 혼자 고기잡이를 나간 노인이 오랜 사투 끝에 청새치를 잡지만 돌아오는 길에 상어 떼를 만나 다 뜯기고 뼈만 앙상하게 남은 고기와 함께 귀항한다는 내용이다. 물론 이런 줄거리가 말해주는 건 별로 없다. 작품의 말미에서 거대한 꼬리와 하얀 등뼈만 남은 청새치를 두고 멋진 상어라고 감탄하는 관광객 신세가 되지 않으려면, 우리도 자칭 ‘이상한 노인’을 따라나서 그가 무엇을 상대로 어떻게 사투를 벌였는지 직접 목격하는 게 최선이다.
84일 동안 고기를 한 마리도 못 잡은 산티아고 노인은 사십일까지는 동행하던 소년의 부모가 이른 대로 이젠 운수가 바닥이 난 것처럼 보인다. 전설적인 어부였는지 모르지만 이제 더는 그렇지 않다. 그는 늙었다. 하지만 그의 두 눈은 여전히 생기와 불굴의 의지로 빛난다. 그는 85가 행운의 숫자라고 믿으며 다시금 출항한다. 그는 거대한 물고기를 잡기 위해 먼바다에 가서 깊이 낚싯줄을 드리운다. 예상을 훌쩍 넘어선 대단한 놈이 미끼를 물고 사흘간의 쟁투가 벌어진다. ‘평생 듣도 보도 못한 굉장한 물고기’와의 무모한 사투는 노인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
사랑하고 존경한다고까지 말하지만 노인은 상대인 청새치를 죽이려고 한다. 생계는 부차적이다. “나는 인간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또 얼마나 견뎌낼 수 있는지 놈에게 보여주고 말겠어”라는 게 그의 결심이다. 즉, 그는 자기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싸운다. 헤겔 식으로 말하면 누가 주인인지를 겨루는 ‘인정투쟁’이다. 생사를 건 이 투쟁에서 비켜나 패배를 자인하면 노예로 전락한다. 더불어 이 투쟁에선 과거의 증명이 아무 의미를 갖지 못한다. ‘지금 이 순간’이 전부이며 매번 새롭게 자기를 증명해 보여야 한다. 서로를 닮은 이상한 노인과 이상한 물고기의 자존심까지 건 쟁투가 갖는 의미다.
마침내 수면으로까지 올라온 거대한 청새치를 작살로 꽂아서 죽인 노인은 이렇게 중얼거린다. “난 지쳐 빠진 늙은이야. 하지만 내 형제인 저 물고기를 죽였고, 이제부터 고된 잡일을 해야만 해.” 자기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인정투쟁이 주인의 노동이라면 나머지 뒤치다꺼리는 노예의 노동이다. ‘고된 잡일’(문학동네)은 ‘노예의 일’(slave work)을 옮긴 것인데, 다른 번역본에서는 ‘궂은일’(시공사), ‘잡일’(열린책들), ‘노예처럼 더러운 노동’(민음사) 등으로 옮겼다. 청새치가 흘린 피 냄새를 맡고 몰려든 상어 떼와의 싸움도 마찬가지로 뒤치다꺼리라고 해야 할까. 똑같은 사투처럼 보이지만 자기의 소유를 방어하기 위한 싸움과 자기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싸움은 종류가 다르다. 통상 바다는 생존투쟁의 공간이지만 노인에게는 인정투쟁의 공간이기도 했다.
인간은 파멸할지언정 결코 패배하지는 않는다는 게 노인의 신념이자 작품의 주제다. 노인과 대등하게 맞섰던 청새치는 죽음을 맞았지만 그 또한 패배하지 않았다. 상어들에게 계속 전리품이 뜯겨나가는 중에도 노인이 물고기가 자유롭게 헤엄칠 수 있다면 상어 놈들과 어떻게 싸웠을까를 생각하며 즐거워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둘은 모두 죽을 때까지 싸운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우리는 단지 살아남기 위해서 사는 노예일 수 없다는 걸 노인은 온몸의 고투로 보여준다.
이상, 출처; 한겨레
'알고 살아가자 > 사람과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탕달, 공론장, 그리고... 소셜 미디어... (0) | 2020.03.01 |
---|---|
호밀밭의 파수꾼 (0) | 2020.03.01 |
아... 헤밍웨이... (0) | 2020.03.01 |
신곡 (0) | 2020.03.01 |
단테, 그리고 신곡 (0) | 2020.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