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와 생각들 560

쉬어가기) 예술, 그리고 디스플레이

정보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보는 색채의 기술 좋은 자리에 함께 해주셔서 감사하고 강연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연을 준비하면서 고려청자와 디스플레이를 어떻게 연결 지을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고심한 끝에 디스플레이가 색과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우리 눈이 영상을 인식하는 과정을 살펴본 뒤, 여기에 비색을 연결시키는 것이 나름 흥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내용을 포함한, 디스플레이에서 색과 영상을 만들어내는 방법은 저의 블로그에도 상세히 설명이 되어 있으니, 여유가 되시는 날, 참조를 부탁 드립니다. (http://blog.daum.net/jbkist, 디스플레이 공부, 특히, http://blog.daum.net/jbkist/3491) ‘구글 아트앤컬처’ 앱..

4-3) OLED, 특징과 장점

OLED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디스플레이입니다. 그리고 현재 경쟁 중인 LCD는 비자발광 디스플레이죠. 이로 인하여 OLED는 LCD와 비교할 때 자발광 디스플레이로서의 특징과 장점들을 가지게 됩니다. 성능면에서 볼 때, 소재의 개발이 진행될수록 색 순도가 높아져서 다양한 색, 높은 색 재현율을 구현할 수 있으며, 화소 단위로 점멸되므로 완전한 블랙이 가능하고 빛이 번지는 무라 현상도 없어 명암비가 높습니다. 응답 속도도 빨라 동영상 구현에도 유리하죠. 구조에 있어서도 BLU와 컬러 필터가 필요하지 않으며 얇은 박막들로만 구성되므로, 얇고 가벼우며, 또한 공정 온도를 낮추어 플라스틱 기판 위에도 제작이 가능하므로 휘어지거나 접고 마는 디스플레이도 가능합니다. 특히, BLU가 없어 소비 전력이나 효율..

4-2) OLED, 발전사

유기 물질의 전기,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1906년, 이탈리아의 과학자 포체티노(A. Pochettino)가 유기 화합물인 안트라센의 결정에서 광전도 현상을 발견한 것을 시작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후 1963년, 뉴욕대의 포프(M. Pope) 교수와 그의 동료들이 수십 마이크론 두께의 안트라센 단결정에 400V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여 발광 현상을 관찰, 측정하였죠. 그리고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증착과 함께 LB(Langmuir-Blodgett) 막 등을 통한 박막 개념의 소자화가 시도되었습니다. 이 시점에서 유기물에서의 발광 메커니즘에 관한 기초적인 이해가 시작되었으며, 다만, 만들어진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이 1 lm/W보다도 매우 낮고 안정성 또한 미흡하여서 실용화는 생각하기가 어려웠습니다...

4-1) OLED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용어 그대로 유기물이 빛을 내는 다이오드, 유기 발광 다이오드입니다. 즉, 정공과 전자를 공급하는 양극과 음극,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캐리어들의 주입, 전송, 그리고 캐리어들이 만나서 빛을 만드는 발광 역할을 하는 유기물 층들이 샌드위치 구조로 삽입되어 있습니다. 물론 자발광 디스플레이죠. 소자의 두께는 대략 1마이크론 이하이며, 유리 기판이나 플라스틱 기판 위에 만들어집니다. 2019년 현재, 특히 모바일 기기와 TV 부문에서 LCD와 경쟁을 하고 있으며, 화질의 우수함은 물론 얇고 변형이 가능하다는 특징으로 더욱 발전이 기대되고 있는, 현대 그리고 차세대 디스플레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참고로 하고 있는 여러 자료들의 제공에 감사를 표..

2019년 10월 28일 (월), 반도체 협회 포럼 - 스마트 홈과 센서

개요, 기술 개발 동향 - 스마트 보안과 안전 - 스마트 에너지 - 홈 엔터테인먼트 - 홈 헬스 케어 4차산업혁명, 사물인터넷 시대가 가까이 다가오면서 집에도, 자동차에도, 빌딩에도, 도시에도 스마트~ 라는 단어가 붙고 있습니다. 스스로 알아서 판단하고 행동하는 집과 자동차와 빌딩과 도시들, 본 '스마트 홈과 센서' 발표에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집, 그 안에서의 보안과 안전, 에너지, 엔터테인먼트, 헬스 케어를 위한 스마트한 액션 아이템들, 그리고, 이의 시작이 되는 센서 이야기를 다룹니다

2019년 10월 10일 (목), 고려대학교 박물관, 예술과 디스플레이

고려 청자, 정보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표현에 관하여 예술 영상의 표현, 빛과 눈, 시각, 그리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 섬세함, 그리고 순간과 시간까지? 관련 노트들 - http://blog.daum.net/jbkist/2763 - http://blog.daum.net/jbkist/2768 - http://blog.daum.net/jbkist/2769 - http://blog.daum.net/jbkist/2771 - http://blog.daum.net/jbkist/2808 - http://blog.daum.net/jbkist/2816 - http://blog.daum.net/jbkist/2819 - http://blog.daum.net/jbkist/2828 - http://blog.daum.net/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