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와 생각들/강연과 논의

2020년 11월 26일, 금, LG디스플레이, OLED Degrad. & Encap.

BK(우정) 2020. 11. 15. 07:29

강의 자료

 

2020-11-26 강연과 논의) OLED degrad. & encap. (1st)-LGD 양식-복사.pdf
7.20MB
2020-11-26 강연과 논의) OLED degrad. & encap. (2nd)-LGD 양식-복사.pdf
7.50MB

 

참고 자료

 

blog.daum.net/jbkist/4059?category=855192

 

5-10) OLED, 제조, 봉지

OLED 제조에 있어서 봉지 공정은 특히 수명과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즉, 산소와 습기가 유기물로 침투하게 되면, 산소와 금속간의 반응으로 인한 전극 표면의 산화, 수소 기체 발생으로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060?category=855192

 

5-11) OLED, 제조, 봉지, 캔 방식

OLED 소자를 금속이나 유리 뚜껑으로 밀봉하는 기술은 가장 먼저 사용된 봉지 방식입니다. 금속은 캔(can), 유리는 리드(lid)로 표현하기도 하죠. 두 경우 모두 가공된 금속이나 유리 구조물에 흡습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061?category=855192

 

5-12) OLED, 제조, 봉지, 하이브리드 방식

하이브리드 봉지 방식은 기본적으로 OLED 소자 위, 즉 음극 위에 무기 보호막들을 형성하고, 위에 밀봉 성능을 갖춘 또 다른 봉지용 판(cover plate)를 고분자 접착 물질을 이용, 합착하는 것을 특징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062?category=855192

 

5-13) OLED, 제조, 봉지, 다층 박막 방식

OLED의 다층 박막 봉지 방식은 캔 방식이나 하이브리드 방식과는 달리 별도의 봉지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즉, 음극까지 증착한 후, 이 위에 연이어서 무기층과 유기층을 번갈아 증착을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063?category=855192

 

5-14) OLED, 제조, 봉지, 개발 중인 방식들

OLED는 박막 봉지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한 장의 기판으로 만들 수 있는 최초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자리매김을 하였습니다. 여기에 플라스틱 기판을 적용할 경우, 0.1mm 두께의 패널이 가능하죠. 디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064?category=855192

 

5-15) OLED, 제조, 봉지, 측정과 평가

OLED의 봉지 후에는 성능과 특성을 평가하여야 합니다. 물론, 산소와 습기의 투과 정도가 가장 중요한 평가 지표이겠지만, 디스플레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선 투과도, 혼탁도(haze) 등의 측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20?category=855192

 

6-2-1) OLED, 손상과 봉지, 개요

OLED의 기판이 유리에서 플라스틱, 즉, 딱딱한 디스플레이에서 유연 디스플레이로 진화하여가면서 OLED의 봉지 기술은 더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즉, 휠 수 있는 OLED에서는 플라스틱 기판의 등장과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21?category=855192

 

6-2-2) OLED, 손상과 봉지, 외부로부터의 손상

앞서 말하였듯이 외부 요인으로부터의 손상, 외인성 손상은 습기와 산소의 유입, 열, 빛, 그리고 제작 과정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그리고 손상은 암점 생성과 확장, 전기적인 단락에 의한 치명적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49?category=855192

 

6-2-3) OLED, 손상과 봉지, 연구 개발 동향

봉지 방식은 당초의 캔 방식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을 거쳐서 박막 방식으로 진화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아래 링크들을 참조 바랍니다. 특허를 보면, 회사의 로드맵과 전략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52?category=855192

 

6-2-4) OLED, 손상과 봉지, 플라스틱 OLED와 용액 기반

폼팩터 측면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의 부피가 크고 무거운 브라운관(CRT)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로 대체되기 시작하였고 다시 액정 디스플레이(LCD)가 주도권을 잡은 뒤, 유기 발광 다이오드(O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66?category=855192

 

6-2-5) OLED, 손상과 봉지, DIaNA 연구

2006년에 배성진 연구원(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은 유기물과 복합 무기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박막을 사용하여 OLED를 박막 봉지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소자 수명의 개선 효과를 논의한 바 있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67?category=855192

 

6-2-6) OLED, 손상과 봉지, DIaNA 연구

무기와 유기 다층 박막을 이용하는 봉지과 함께 용액 공정을 이용한 봉지가 용액형 OLED의 등장 가능성으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점토층(layered clay)처럼 판상 모양을 띈 소재들을 층층이

blog.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