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자료
blog.daum.net/jbkist/4411?category=855192
6-1-1) OLED, 유연 투명 전극, 개요
모바일 기기, 특히 스마트폰의 진화는 2007년 아이폰이 등앙하고, 이후 OLED 화면이 탑재되기 시작하면서부터 매우 과감하고 또 흥미롭게 이루어져 오고 있습니다. 먼저 화면 전체가 통화시 얼굴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15?category=855192
6-1-2) OLED, 유연 투명 전극, DIaNA 연구
우리 연구실에서는 주로 은 나노선의 도포, 분산과 전기적인 연결, 그리고 OLED 소자 적용을 통한 응용성 검증 등을 연구하여 왔습니다. 이러한 연구 과정과 결과들이 어떻게 진행되어왔는지, 살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18?category=855192
6-1-3) OLED, 유연 투명 전극, DIaNA 연구
이어서 2017년에 전성우박사(현재 LG 디스플레이 근무)는 김종웅교수(현재 전북대 근무)팀과 공동으로 한 연구에서, 은나노선과 투명 폴리이미드를 블랜딩하고, 여기에 황화 아연 형광제를 접목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19?category=855192
6-1-4) OLED, 유연 투명 전극, DIaNA 연구
2018년에 이동준박사(현재 삼성 디스플레이 근무)는 은나노선을 poly(vinyl-butyral)(PVB) 내에 함침시킴으로써 유연, 투명하고 평탄도가 높은 전극을 만들었습니다. PVB 내에 은나노선들을 함침하여 접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20?category=855192
6-2-1) OLED, 손상과 봉지, 개요
OLED의 기판이 유리에서 플라스틱, 즉, 딱딱한 디스플레이에서 유연 디스플레이로 진화하여가면서 OLED의 봉지 기술은 더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즉, 휠 수 있는 OLED에서는 플라스틱 기판의 등장과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21?category=855192
6-2-2) OLED, 손상과 봉지, 외부로부터의 손상
앞서 말하였듯이 외부 요인으로부터의 손상, 외인성 손상은 습기와 산소의 유입, 열, 빛, 그리고 제작 과정으로부터 발생합니다. 그리고 손상은 암점 생성과 확장, 전기적인 단락에 의한 치명적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49?category=855192
6-2-3) OLED, 손상과 봉지, 연구 개발 동향
봉지 방식은 당초의 캔 방식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을 거쳐서 박막 방식으로 진화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아래 링크들을 참조 바랍니다. 특허를 보면, 회사의 로드맵과 전략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52?category=855192
6-2-4) OLED, 손상과 봉지, 플라스틱 OLED와 용액 기반
폼팩터 측면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의 부피가 크고 무거운 브라운관(CRT)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로 대체되기 시작하였고 다시 액정 디스플레이(LCD)가 주도권을 잡은 뒤, 유기 발광 다이오드(O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66?category=855192
6-2-5) OLED, 손상과 봉지, DIaNA 연구
2006년에 배성진 연구원(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은 유기물과 복합 무기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박막을 사용하여 OLED를 박막 봉지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소자 수명의 개선 효과를 논의한 바 있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67?category=855192
6-2-6) OLED, 손상과 봉지, DIaNA 연구
무기와 유기 다층 박막을 이용하는 봉지과 함께 용액 공정을 이용한 봉지가 용액형 OLED의 등장 가능성으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점토층(layered clay)처럼 판상 모양을 띈 소재들을 층층이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474?category=855192
6-3-1) OLED, 광 추출, 개요
OLED 소자에서 효율은 소자로 흘러들어간 전력, 즉 캐리어들(전자와 정공)에 대해서 소자 내부에서 얼마나 많은 포톤들(빛)이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만들어진 빛이 얼마나 밖으로 빠져나오는지로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720?category=855192
6-3-2) OLED, 광추출, 방법, 연구 일례
광 추출을 위하여 주류가 되는 아이디어는 빛이 생성되고 밖으로 나오는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구조물들의 모양을 설계하여 입사각을 바꾸거나 소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굴절률을 조절하는 것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721?category=855192
6-3-3)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2013년, 신세중 연구원(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은 RIE 공정을 통해 유리 기판과 ITO 양극 사이에 SU-8 고분자로 포물선 형태의 구조들을 랜덤하게 제작하여 광추출을 향상시켰습니다. 랜덤한 구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816?category=855192
6-3-4)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2015년, 이현준 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PAN Nanofibers와 SU-8 복합 폴리머층을 산란층(scattering layer)으로 제작하여 외부 외부 광 추출 구조로 활용하였습니다. 나노 파이버의 직경에 따른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817?category=855192
6-3-5)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2018년, 황하 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극소의 화소를 갖는 초고해상도 OLED 제작을 위하여 나노 크기의 화소 구분층(nanosize pixel-defining layer nPDL)을 적용하였습니다. 이의 부가적인 효과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820?category=855192
6-3-6) OLED, 광추출, 방법, DIaNA 연구
2019년에 박철휘 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굴절률 매칭 기능을 갖는 확산층, 즉 확산층으로 사용되는 고분자(PMMA) 나노 패턴 위에 굴절률 매칭층인 금속 산화막(알루미나, 산화 아연)을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821?category=855192
6-4-1) OLED, 발광의 개요
빛은 두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집니다. 즉, 열 방사(thermal radiation)와 발광(luminescence)이죠. 온도 방사는 물체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빛이 나오는 현상으로, 자연에서는 태양이 대표적입니다. 빛
blog.daum.net
blog.daum.net/jbkist/4839?category=855192
6-4-2) OLED, 발광의 개요, TADF, DIaNA 연구
2018년 박찬혁박사(현재 삼성디스플레이 근무)는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TADF형 OLED 소자를 발표하였습니다. 즉, 수송층을 개선, 통합하였고, 발광층의 도핑 농도를 적절
blog.daum.net
'공부와 생각들 > 강연과 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11월 26일, 금, LG디스플레이, OLED Degrad. & Encap. (0) | 2020.11.15 |
---|---|
2020년 11월 24일, 화, 광산업진흥회, MEMS 기술과 동향 (0) | 2020.11.07 |
2020년 10월 21일(수), 특허청, MEMS-모션 트래킹&디스플레이 (0) | 2020.10.17 |
2020년 10월 20일(화), 수원 효원고,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하여 (0) | 2020.10.17 |
2020년 10월 8일(목), 탑엔지니어링, 마이크로디스플레이 (0) | 202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