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의 어원은 라틴어인 Displico 혹은 Displicare로, 그 의미는 ‘보이다’, ‘펼치다’, ‘진열하다’ 등입니다. 가장 흔히 쓰이는 의미는 ‘전시 및 진열’이지만, 전자공학에서 뜻하는 디스플레이는 ‘표시 장치’라는 뜻으로서 각종 전자기기의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출력장치를 의미합니다. 보여주어야 할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쳐 우리 눈을 통해 인지되는, ‘정보 디스플레이’이죠. TV, 스마트폰, 모니터, 태블릿. 요즘처럼 디지털화된 세상에서 디스플레이가 없다면 불편을 넘어 문명의 존속 자체가 흔들릴 수도 있을 만큼, 그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삶에 이렇게 중요한 디스플레이의 기원을 시작으로 그 역사적 흐름을 알아보겠습니다. 이하, 삼성 디스플레이 자료를 인용합니다. (다른 자료들 인용도 없지는 않을 터인데, 일일이 기억이 나지 않네요. 원고를 몇 번 손질하다보니)
1) 최초의 디스플레이, 스페인 알타미라 동굴벽화; 알타미라 동굴벽화는 구석기 시대(기원전 약 15,000년경)의 유적으로 야생 동물의 뼈와 사람들의 손으로 그린 암벽화입니다. 예술계에서는 이 벽화를 인류 최초의 회화로 보고, 역사학자들은 성공적인 사냥 등을 기원하기 위한 종교적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정보 디스플레이 관점에서 본다면 이 벽화는 인류 최초의 디스플레이 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기능으로서 회화의 첫 등장이기 때문입니다. 일만년이 넘는 긴 시간을 지나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당시의 생활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장 오래된 인류의 디스플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지식 전달의 혁명, 파피루스, 종이의 발명; 인류는 지식의 전달과 축적을 통해 문명을 발전시켜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기록과 보관은 무척 중요한 요소였고, 석판이나 점토판과 같이 기록과 관리가 어려운 방법에서 탈피해, 파피루스와 양피지를 활용하는데 이어 현재까지도 유용하게 사용중인 종이를 발명하기에 이릅니다. 특히 종이의 발명은 지식의 폭발적 증가와 확산을 가능하게 한 지식 혁명이었고, 문명은 발전에 가속 페달을 달았습니다.
3) 있는 그대로를 표현하다, 사진의 발명; 인류는 문자와 그림을 종이에 적고 그려 넣을 수는 있었지만, 자연이나 사물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담아내는 기술은 아직 없었습니다. 이를 가장 유사하게 표현하는 방법은 리얼리즘 기법의 회화 정도였죠. 하지만 1826년에 프랑스인 이었던 조제프 니세포르 니에프스(Joseph Nicéphore Niépce)는 금속판 위에 상을 정착해 세계 최초로 사진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합니다. 창밖을 바라보며 8시간 노출을 통해 얻은 최초의 사진이죠.
니에프스의 발명에 이어 1831년에 루이 다게르(L.J.M.Daguerre)는 보다 진일보한 사진술 발명을 이어나갔고, 1837년에는 촬영, 현상, 정착의 프로세스를 완성해 화상을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고안해 이 프로세스를 다게레오 타입(Daguerreotype)이라 이름 붙였습니다. 이 후에 사진기술은 급격히 발전해, 필름카메라가 대중화되었으며, 현재는 디지털카메라 혹은 휴대폰 카메라를 통해 사진 촬영은 일상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디스플레이로서 사진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발명이었습니다. 초기에 사진술은 과학적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졌는데, 그 시대의 많은 초상화가들은 순식간에 자신들을 대체해 버릴 사진기술에 상당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고 하며, 프랑스의 역사화가인 ‘폴 들라로슈(Paul De La Roche)’는 “회화는 죽었다”라고 까지 말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를 계기로 사진과 회화가 상호 보완적이고 경쟁적으로 발전해 왔고 대량 출판 기술로도 이어졌다고 하니, ‘표현 방식’ 즉 ‘디스플레이 방식’의 변화가 사회와 예술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듯 위대한 기술로 인정받는 사진 기술이었지만, 사진은 멈춰있는 장면을 보여줄 뿐, 움직이는 표현은 프락시노스코프(Praxinoscope) 같은 형태로만 존재했습니다.
4) 움직임을 담아내다, 영사기(映寫機, Movie Projector)의 발명; 1895년 12월 29일, 프랑스 파리의 한 카페에 모인 수십명의 관객들은 조명이 꺼지자 갑자기 자리에서 일어나 뒤로 도망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다름아닌, 122년 전 프랑스의 뤼미에르 형제(Nicholas Lumière, Jean Lumière)가 만든 세계 최초의 영화 ‘기차의 도착’을 본 관객들의 모습을 묘사한 것입니다. 움직이는 영상을 처음 본 관객들이 영화 속에서 기차가 앞으로 다가오는 화면을 보자, 실제로 착각해 도망을 쳤던 유명한 일화입니다. 영사기는 1889년에 미국의 에디슨이 최초의 영사기인 키네토스코프(Kinetoscope)를 발명했습니다. 키네토스코프는 지금처럼 커다란 화면으로 영화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작은 구멍을 통해 한 명씩 들여다보아야 하는 방식이었죠. 하지만 움직이는 사진, 즉 영상을 처음 접한 이들은 이것을 들여다보는 것 조차 대단히 놀라운 구경이었다고 전해집니다. 이후 여러사람이 볼 수 있는 방식의 영사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명되기 시작했고, 가장 널리 알려진 영사기로는 앞서 영화 ‘기차의 도착’을 제작한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Cinématographe)’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은 시네마토그래프의 등장을 통해 이후 본격적인 대중 영화시대가 열리게 됩니다. (이상, 출처; 삼성 디스플레이 블로그)
이상의 정보 디스플레이의 기원이었습니다. 그리고, 20세기에 이르러 우리가 현재 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합니다. 이에 관하여서는 다음 노트, 디스플레이의 변천에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상에서 추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 정보 통신의 세계에서 디스플레이는 가장 끝단에 위치합니다. 즉, 센서 등에 의하여 취득된 신호, 혹은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이 되고, 마지막에 디스플레이로 우리에게 보여지죠. '인간은 정보의 80%를 시각에 의존하고, 그 대부분은 색채로 이루어져 있다,' 독일의 대문호이자 색채 심리의 전문가이기도 한 괴테, 그의 저서인 '색채론(Theory of Colours)'에 담긴 말입니다. 이와 같이 인간의 5감에서 시각으로 오는 정보가 80% 이상이니 이 또한 눈으로 오는 정보입니다. 요즘에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터치가 또 다른 입력이 되기도 하며, 따라서 이제는 '입출력 장치'라는 명칭이 더 어울립니다. 여하튼 디스플레이는 인간과 정보, 기계 등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human-machine interface)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들자면 반도체 집적회로는 인간의 뇌, 배터리는 심장에 해당하죠. 앞으로도 TV 이야기를 많이 하여야 하니, TV가 일원이 되는 정보 전달의 체계를 일례로 들어보겠습니다.
즉, 배우가 연기를 하든 앵커가 뉴스를 하든,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신호는 전파가 되어 집으로 오게 됩니다. 전파가 전달되는 방법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에 따라 방송의 명칭이 달라집니다. 전파가 지상에 있는 송신탑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안테나까지 오는 지상파 , 혹은 공중파 방송, 케이블 방송국이 보다 다양한 컨텐츠들을 광섬유나 동축 케이블과 같은 유선으로 보내주는 케이블 방송, 혹은 마을이나 집이 큰 산이나 높은 건물들로 가로막혀 전파가 바로 오기가 어려우면, 케이블 방송국에서 지상파 방송을 받아 케이블로 전달을 해 주기도 하죠. 그리고, KT의 올레 TV나, SK 브로드밴드, LG 유플러스 등과 같이 인터넷 선을 따라 들어오는 인터넷 방송, 이는 IP-TV(Internet Protocol TV)라는 용어로 더 익숙하죠. IP-TV의 경우에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는데, 시청자가 요구를 하고 원하는 방송을 볼 수 있는 쌍방간의 교류가 더욱 활성화되어 있어서 케이블 TV에 비해 가입자수가 많죠. 끝으로 다른 나라의 방송을 받고플 경우에는 동그란 지구로 인해, 똑바로만 가는 전파가 적도 상공, 약 35km에 있는 방송 위성이나 통신 위성을 경유하여 안테나에 도착하는 위성 방송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위성 방송의 경우 12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데, 파장은 약 2.4cm 정도로 큰 빗방울이나 우박 등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어 큰 파라볼릭 안테나로 전파를 더 넓게 모으기도 합니다.
안테나를 통하든, 통신선을 통하든 집으로 전달된 영상 신호는 TV에서 다시 빛, 그리고 영상으로 바뀌어 우리 눈에 보이게 되며, 여기서 눈에 보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입니다. 사실, 디스플레이는 '보이다', '펼치다', '진열하다' 등의 뜻을 가지는 라틴어 'displico', 'displicare'에서 비롯된 단어로, 현대에 이르러서는 보여주는 행위나 장치를 통칭하고 있습니다. 즉, 미술관의 전시 행위부터, 백화점의 쇼 윈도우, 스마트 폰의 화면, 그리고 스포츠 경기장의 전광판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전시 행위와 표시 장치를 일컬으며, 여기에서는 전자 기기에서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를 '정보 디스플레이(Information Display)'로 표현하고자 합니다. 다음으로 정보 디스플레이가 어떻게 진화하여 왔는지, 과거로 돌아가 보죠.
# 참고로 하고 있는 여러 자료들의 제공에 감사를 표하며, 계속 업그레이드 됩니다.
# 의견과 조언, 수정과 요청은 늘 환영합니다. 댓글이나 전자메일로~ bkju@korea.ac.kr
# 저작자, 본 사이트를 반드시 표시, 비영리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고, 내용 변경은 금지합니다.
# 더! 생각해보기
a. 파피루스 벽화에서 현재의 디스플레이 기기까지, '정보 표시’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자
b. 4차 산업 혁명의 시대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기기의 중요성은 어떻게 부각되어갈까
c. 멀리 있는 벗과의 영상 통화에서 벗의 얼굴이 나의 모바일 기기 화면에 보이기까지, 신호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올까
'공부와 생각들 > 디스플레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어가기) 코리올리 힘 (0) | 2019.06.11 |
---|---|
1-4) 전자 디스플레이, 변천 (25) | 2019.06.10 |
1-2) 인적 자원의 힘 (19) | 2019.06.09 |
1-1) 책 들어가기~ 그리고 먼저, 잔소리 (19) | 2019.06.09 |
디스플레이 이야기 (1), '알아가기'를 알아가며 (2) | 2019.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