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소개
먼저, 미래를 앞서가는 기업, 유라마에서 저를 초대하여 주셔서 고맙습니다.
제 강의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준비되었습니다. 먼저, 디스플레이 선도국으로서 우리나라가 현재 당면한 문제, 특히 중국을 필두로 한 경쟁국들의 추격에 대해 잠시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우리가 어떤 전략을 마련하여야 하는지를 도입부에 제시하여 보겠습니다. 즉, 디스플레이의 성능과 폼 펙터, 그리고 응용 부문에 대해 논의할 생각입니다. 현재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주력 디스플레이가 될 OLED 기술에 있어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내용들을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특히, 소재, 유연함, 공정, 생산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며, 이의 극복과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고민하여 보겠습니다. 후반부는 최근 강력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양자점 OLED (QLED)에 관한, 소개와 기술적 내용, 그리고 기업의 전략과 전망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즉, 양자점 디스플레이가 LCD에서 OLED, 그리고 LED를 향하여 어떻게 발전하여갈지, 당장 눈앞에 다가온 양자점 OLED의 개발, 생산 전략은 어떨지 등에 관하여 나름 수집한 정보들을 토대로 이야기를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본 강연의 제목은 'OLED, 소재 관점에서의 관망'으로 하였습니다.
강사 소개
저는 1962년 충북 제천에서 태어났으며, 1995년에 고려재학교 전자공학과에서 반도체 공정 관련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KIST에서는 석사학위를 받은 직후인 1987년 겨울부터 위촉연구원으로 근무를 시작하였으며, 2005년에 퇴임할 때까지 연구원, 선임 및 책임연구원을 거쳤습니다. 2005년 3월, 고려대학교에 부교수로 부임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근무를 하고 있으며, 정보 디스플레이, 전자재료 및 소자 등을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 결과로서 현재까지 약 170명의 석, 박사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450편 정도의 SCI 논문 등을 도출하였습니다. 지금은 삼성 디스플레이와 함께 OLED 공정과 소자 관련 연구를 하고 있으며, 삼성 전자와도 웨어러블 센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이와 함께, 산업부 주관의 미래디스플레이 핵심기술개발 사업단, 단장, 나노융합 2020사업의 기술위원장, 한국문인협회 종로지부의 임원, 그리고 작가로서 5번째 시집을 출간하였고, 종로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공부와 생각들 > 강연과 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3월 20일, 금, 대학원 수업,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 1 (1) (0) | 2020.03.14 |
---|---|
2020년 3월 16일 (월), 학부 수업, 전기전자재료공학 (1) (0) | 2020.03.10 |
2020년, 1학기, 학부수업, 전기전자재료공학, 강의 계획안~ 입니다. (0) | 2020.01.10 |
2019년 12월 23일(금), 4차산업혁명 (학생 발표), 자료 공유합니다~ (0) | 2019.12.17 |
2019년 12월 20일, 금, 대학원, 기말 시험, 공개 및 논의 (0) | 2019.12.17 |